경주 양동마을

  • HOME
  • 마이인빌
  • 메일
  • 고객센터
  • 사이트맵
  • 양동마을 양동마을나들이 전통문화체험 전통민박 마을특산물 마을알림터 2023양동체험마당
    사람들이 서로 질서를 지키며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규범을 정해놓은 생활방식이 바로 예절이다. 예절교육

    예절(禮節)의 의의(意義)

    우리가 바르게 살려면 먼저 예절이 무엇인가를 알아야 한다.
    사람들이 서로 질서를 지키며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규범을 정해놓은 생활방식이 바로 예절이다. 따라서 예절을 행하지 않는 것은 규범을 지키지 않는 것이다.

    예절이란 생활규범(生活規範)으로 생활하는 방식을 약속해 놓은 것이고, 가정에서 행하는 의식절차를 약속해 놓은 것이다. 사람은 남과 더불어 함께 산다.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원만히 하려면 서로 약속해 놓은 방식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예절은 인간으로서 스스로 사람다워지려는 노력 즉 자기관리와 사회인으로서의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원만히 영위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사람이 되고 사람 노릇을 해서 사람대접을 받으며 사람과 더불어 함께 살려면 사람끼리 약속해 놓은 생활방식인 예절을 알아서 실천해야 한다.
    따라서 예절을 실천하지 않는 것은 바른 사람이 되기를 포기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안에 있는 예절의 마음과 밖으로 나타나는 예절의 언동(言動)이 일치해야 참 예절이라 할 것이다. 예절은 마음만 있어서는 안 되고 반드시 그 마음을 상대편에게 인식시키는 말과 행동이 따라야 한다.

    이 말과 행동은 미리 정해 놓은 방식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정해 놓은 말이 언어의 격식이고, 정해 놓은 몸놀림이 행동의 격식이다.
    즉, 예절의 실제는 마음속에 있는 것이고, 예절의 격식은 그 생각과 마음에 간직한 의사를 남에게 인식시키는 의사소통의 수단이다.

    예절교육 예절교육

    인사 예절

    인사는 예절의 바탕이므로 마음이 중요
    - 인사는 진심에서 우러나는 마음으로
    - 상대방에 대한 존경·감사 표시

    기본 자세
    - 학교나 직장에서는 서서하는 인사를 원칙으로 함.
    - 머리와 몸을 구부리고 느릴수록 정중하고 공손하게 보인다.

    인사의 종류
    - 눈 인사(目禮) : 손아래사람, 친구
    - 가벼운 인사(15도 정도 굽힘) : 동료 및 아랫사람
    - 보통의 인사(30도 정도 굽힘) : 일반손님
    - 정중한 인사(45도 정도 굽힘) : 웃어른

    손님맞이
    - 일어서서 맞이한다
    - 밝은 표정으로- 안녕하십니까? 어서 오십시오.

    - 용건 확인
    - 공손한 태도- 어떻게 오셨습니까?

    - 차를 대접한다.
    - 응접실로 안내- 죄송합니다. 잠시 기다려 주십시오

    - 상대방에 대한 존경·감사 표시

    기본 자세
    - 아랫사람이 웃어른에게
    - 연소자를 연장자에게
    - 남성을 여성에게
    - 친한 사람을 새로운 사람에게 먼저 소개한다.

    배웅한다
    - 복도 또는 엘리베이터까지 배웅한다 - 감사합니다, 안녕히 가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