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양동마을

  • HOME
  • 마이인빌
  • 메일
  • 고객센터
  • 사이트맵
  • 양동마을 양동마을나들이 전통문화체험 전통민박 마을특산물 마을알림터 2023양동체험마당
      씨족의연원

      - 씨족의 연원
      여주이씨(驪州李氏)는 시조를 달리하는 3파가 있다. 이인덕(李仁德)을 시조로 받드는 교위공파(校尉公派)가 있고, 이은백(李殷伯)을 시조로 하고 이규보(李奎報)를 중조(中祖)로 모시는 문순공파(文順公派)가 있으며 이세정 (李世貞)을 시조로 받드는 경주파(慶州派)가 있다.

      이 3파의 여주이씨 선조들은 다 같이 고려 중기에 경기도 여주고을에 자리 잡아 대대로 호장중윤(戶長中尹), 향공진사(鄕貢進士) 등 향직(鄕職)을 세습하면서 세력을 떨치던 호족(豪族)으로 군림하였다. 그러나 그 후손들은 상계(上系)의 연원(淵源)을 명백하게 가리지 못하는 가운데서도, 예전부터 서로 뿌리가 같은 동족으로 알아 조선조 때는 대동보를 함께 간행하기도 하였다.
      3파의 여주이씨는 관향(貫鄕)의 이름을 각기 조금씩 달리 써오고 있는데 교위공파에서는 문중에 전래하는 <개성호적>에 따라 고려때는 <황여>라 하였고, 조선조 때는 주로 <여흥> 또는 <여주>라 하였으며 간혹 <영의>라는 관향을 쓴 지파도 있었다.

      문순공파는 고려조 이래 대체로 ‘여주’라는 단일관향을 썼으나 이규보의 후손가운데 그 습봉(襲封)의 지명에 따라 하음(지금의 강화)으로 관향을 삼은 종파가 있었고, 경주파는 ‘을축대동보’부터 ‘여강’이란 관향을 정하였다. 그러다가 근년에 이르러 ‘여흥’‘영의’‘하회’등의 관향 이름을 여주로 단일화 했으며 경주파에서 독자적으로 사용한 ‘여강’이란 관향도 갑자보로부터는 ‘여주’라는 관향과 함께 쓰기로 하였다.

      - 본관지 연혁
      여주는 경기도 동남부에 위치한다. 본래 고구려의 골내근현(骨內斤縣)인데 신라 경덕왕이 황호현으로 고쳐 기천군의 영현으로 만들었고, 고려초에는 黃驪縣으로 개칭, 원주에 속하게 하였다.
      고려 고종때에는 영의현으로 개칭하였고, 충렬왕 31년 경순왕후의 친향이라 하여 여흥군으로 승격하였으며, 우왕14년에 다시 흥여부로 승격되었다가 공양왕때 군이 되었다.
      조선조 태종은 원경왕후의 친향이라 하여 부로승격,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이관하였다. 그 후 도호부가 되었고 세종대왕의 영능을 이곳으로 옮기면서 여주로 개칭되었다. 1895년 충주부의 관할이 되었다가 1914년 군으로 복구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 주요집성촌
      교위공파는 시조 이인덕에서 3세 이효온까지는 여주에서 향직에 종사했으나 4세 이교에 이르러 중앙관인으로 진출하여 개성 북부 흥국리에 정거하였다. 그 아들 3형제 가운데 장자 이수산은 유배지인 평부 선천에 눌러 살았고 6세 이상은 중화군 상원에 살았다.
      3자인 이수용은 개성 오관리로 분가하여 자손들이 수대를 살았으나 8세 이천배는 함북 북청으로 옮겼고 고려가 망한 후 9세 이행이 강음(지금의 김천군)에 주거를 정하였다. 그 아들 이적은 한양 남촌에 살았고, 이몽가는 평산,봉산,백천 등지에 자손들이 세거했으며 12세 이증약의 후손은 홍성, 영광,춘천 등지에서 집성촌을 이루었다.

      문현공파는 3세 이태수가 관인으로 일찍이 중앙에 진출하여 개성,서교에 주거를 정한 후 그 아들 문순공 이규보가 다시 개성 동부 봉향리로 옮겨 오랫동안 거주했으며 만년에는 몽고의 침략으로 피란 정부를 따라 하음(지금의 강화)객사의 서랑에서 여생을 마쳤다.
      그러므로 자손들도 문손공의 유택을 지키며 오랫동안 강화에서 살았으나 고려가 망하자 각각 신분을 드러 내지 않고 전국 각지에서 산거하였다. 9세 이증의 후손들은 고양군 송포를 비롯, 파주, 논산.영동.옥천 등지에 세거의 뿌리를 내렸으며 이번의 자손들은 주로 군위군 우보를 중심으로 상주 영천.청송 등지에서 큰 문중을 이루었다.

      경주파는 시조 이세정이 향공진사로 입신한 점으로 미루어, 당시에 이미 개경에 진출하여 일문을 이루었다. 고려가 망할때까지 개성에 살았던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다가 여말선초(麗末鮮初)의 변혁기를 맞아 자손들은 경상도 동남해안으로 낙향한듯한데 8세 이근의 자손은 울주.언양에서 이상도, 이극랑의 자손은 흥해에서, 이숭예의 자손은 경주와 영일 등지에 각각 정착하였다.
      특히 양동과 옥산마을은 이가문이 남긴 양반마을로서의 전통과 유습이 보존되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민속마을로 지정되었으며 옥산서원의 사적을 비롯하여 많은 지정문화재와 민속자료가 보존되어 있다.

    이언적[李彦迪]
    1491(성종 22)∼1553(명종 8)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性理學者)로 자는 복고(復古), 호는 회재(晦齋), 자계옹(紫溪翁). 관향은 여강(驪江). 성종 22년 경주 양좌촌(慶州 良佐村)에서 태어났다. 생원(生員) 번(蕃)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경주손씨(慶州孫氏)로 계천군(鷄川君) 소(昭)의 딸이다.

    연산(燕山) 8년에 구사재(舅四宰) 손중돈(孫仲暾)에게 취학(就學)하여 성리학을 익히고 늘 산사( 山寺)에 거처하면서 독서(讀書)에 열중(熱中)하였다.

    중종(中宗) 9년(1514) 문과에 급제, 천관랑(天官郞)을 비롯한 인동현감(仁同 縣監)·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밀양부사( 密陽府使) 등을 거쳐 동 25년(1530) 사간(司諫)에 이르렀다.

    당시 김안로(金安老)의 거용(擧用)에 극력 반대하다가 심언광(沈彦光) 등의 모략(謀略)으로 물러났다. 동 32년 김안로(金安老) 일파가 쫓겨난 뒤 종부시 첨정(宗簿寺僉正)과 직제학(直提學)을 역임하였다. 전주부윤(全州府尹)으로 있을 때 선정(善政)을 베풀어 명성(名聲)이 자자(藉藉)하였다.

    수천언(數千言)의 상소(上疏)를 올려 국가 대본(國家大本)과 정치 강령(政治綱領)을 논하여 왕의 찬탄을 받고 가선대부(嘉善大夫)로 특가(特加)되어 예조참판(禮曹參判)과 우참찬(右參贊)을 역임하고 인종(仁宗) 1년(1545) 의정부 좌찬성(議政府 左贊成)이 되었다.

    이듬 해 권신(權臣) 윤원형(尹元衡)의 미움을 사서 양재역(良才驛) 벽서사건(壁書事件)으로 모함(謀陷)하여 강계(江界)에 천적(遷謫)되었다. 적소(謫所)에서 그의 절필(絶筆)인 중용구경연의(中庸九經衍義) 29권을 집필중(執筆中) 완성하지 못하고 63세를 일기로써 타계(他界)하였는데,

    1568년 선조 즉위시(宣祖 卽位時) 시임(時任) 좌의정 이명(左議政 李蓂)의 초계 주청(初啓奏請)으로 신원 복권(伸寃 復權)되어 영의정(領議政)으로 추증(追贈)되고 다음 해 문원(文元)이라 증시(贈諡)되었다.

    선조 6년, 경주 옥산서원(玉山書院)에 제향되고, 광해군(光海君) 2년(1610) 문묘(文廟)에 종향(從享)되었다. 그의 주리(主理) 학설은 퇴계(退溪)의 사상에 영향을 주었으며,28세 때에 선배학자(先輩學者)인 손숙동(孫叔暾)과 망기당(忘機堂) 조한보(曺漢輔)와의 수삼차(數三次)에 걸친 무극(無極)·태극(太極)에 관하여 벌린 논쟁(論爭)에 뛰어 든 것은 조선 초유(初有)의 대논쟁(大論爭)이라 한다.

    후에 율곡(栗谷)은 선생을 한훤당(寒暄堂)· 일두(一두)· 정암(靜庵)과 함께 동방사현(東方 四賢)으로 추모(追慕)하였다.

    저서로서는 봉선잡의(奉先雜儀)· 중용구경연의(中庸九經衍義)· 진수팔규(進修八規)· 대학장구보유(大學章句補遺)· 속 대학혹문(續 大學或問) 등이 있다.

    이언괄[李彦适]
    본관 여주(驪州). 자 자용(子容). 호 농재(聾齋). 언적(彦迪)의 동생이다. 형으로부터 글을 배운 그는 귀먹은 듯 살아가라는 현인의 가르침을 따라 호를 농재라 하였다.

    1545년(인종 1) 학행(學行)으로 경기전(慶基殿) 참봉이 되었으며, 1547년(명종 2) 송라도(松蘿道) 찰방이 되자 백성의 부역을 경감하는 등 선정을 베풀었으므로 백성들이 그를 위하여 송덕비를 세웠다.

    무첨당

    무첨당(無忝堂, 보물 411호)
    회재 이언적 선생의 부친인 이번(李番)공이 살던 집으로 1460경에 지은 여강(驪江) 이씨(李氏)의 종가집인데, 별당의 기능을 중요시한 간결하고 세련된 솜씨의 주택이다.





    경산서당

    경산서당(景山書堂, 향토문화재)
    이 서당은 회재 선생의 맏손자 무첨당(無忝堂) 이의윤(李宜潤)공을 봉향하면서 학문을 가르치던 곳이다. 1835년경에 이웃 안계리에 건립되어 있던 것을 댐 걸설로 1970년 이곳으로 옮겼다. 이 마을엔 3개나 되는데 이 씨 문중의 강학당과 경산서당 그리고 손씨 문중의 안락정(安樂亭)이 그곳이다



    강학당

    강학당(講學堂, 중요민속자료 83호)
    조선 고종 4년(1807년)경에 세운 이씨(李氏) 문중(門中)의 서당이다. 매우 안정감이 있고 소박하다. 인접한 초가와 함께 울창한 숲을 배경으로 그림 같이 자리잡고 있다.





    이향정

    이향정(二香亭, 중요민속자료 79호)
    조선 숙종 21년 (1695)경에 건축된 ‘ㅁ’ 자형 주택으로 온양군수 이범중(李範中) 공의 맏아들로 담양부사를 지낸 이헌유(李憲儒)공이 살던 집이며, 이향정(二香亭)은 이범중 공의 호이다. 특징은 사랑방, 안방, 행랑방, 책방 등의 구분되어 연결되는 점이고, 초여름 이향정을 돌아가는 오솔길에는 찔레꽃이 만발하여 향기가 그윽하다.



    대성헌

    대성헌(對聖軒)
    조선 영조 8년(1732년)에 건립되었고, 순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 교리를 지낸 물와 이재직(勿窩 李在直)공이 살던 집이다. 대성헌(對聖軒)이라는 당호(堂號)는 앞산 성주봉(聖主峰)을 마주보고 있는데서 붙여진 이름 이다. 마루에 걸터 앉아 잠시 쉬며 상념에 잠겨 볼 만하다.



    향단

    향단(香壇, 보물 412호)
    마을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보이는 화려한 지붕구조를 가진 아름다운 건물로 회재 이언적(晦齎 李彦迪, 1491-553) 선생이 1543년경에 경상감사로 부임할 때 중종 임금이 그의 모친의 병환을 돌볼수 있도록 배려해서 지어 준 집이다.




    심수정

    심수정(心水亭, 중요민속자료 81호)
    마을로 들어서면 우측 성주봉 등성이 큰 고목들에 둘러싸여 있는데, 맞은편 북촌에 자리잡은 향단에 딸린 정자이다. 형을 위해 벼슬을 마다하고 노모 봉양에 정성을 다한 회재 이언적 선생의 아우 농재(聾齎) 이언괄(李彦适)공을 추모하여 1560년경에 건립 하였다고 하는데 철종 때에 한번 소실된 적이 있었고 지금의 집은 1917년 중건한 것이라 한다.



    수졸당

    수졸당(守拙堂, 중요민속자료 78호)
    마을로 들어서면 우측 성주봉 등성이 큰 고목들에 둘러싸여 있는데, 맞은편 북촌에 자리잡은 향단에 딸린 정자이다. 형을 위해 벼슬을 마다하고 노모 봉양에 정성을 다한 회재 이언적 선생의 아우 농재(聾齎) 이언괄(李彦适)공을 추모하여 1560년경에 건립 하였다고 하는데 철종 때에 한번 소실된 적이 있었고 지금의 집은 1917년 중건한 것이라 한다.



    근암고택

    근암고택(謹庵古宅, 중요민속자료 76호)
    안골로 들어가는 입구 우측 산등성이에 자리잡고 있는 집이다. 조선 정조 4년(1780)경에 태로(台老) 이정수(李鼎壽)공이 지어 살던 집으로 그의 현손(玄孫, 4대손) 홍릉참봉(弘陵參奉) 이희구(李熙久)공의 호를 따라 근암고택(謹庵古宅) 혹은 참봉택이라 부른다.




    상춘헌

    상춘헌(賞春軒, 중요민속자료 75호)
    안골 초임 우측 동산 근암고택 옆에 자리잡고 있는 이 주택은 상춘고택(賞春古宅)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조선 영조 6년(1730년)경에 동고(東皐) 이덕록(李德祿)공이 건립하였고, 그의 증손으로 예조참의(禮曺參義)와 대사간(大司諫)을 역임한 이정덕(李鼎德)공이 동편 사당을 증축했다. 그 후 후손인 이 석찬(李錫纂)공의 호를 따라 상춘헌(賞春軒)이라 부르며 사랑채의 마당 동편에 계획적인 조경으로 동산을 꾸며 놓았다.



    사호당

    사호당(沙湖堂, 중요민속자료 74호)
    안골로 들어가는 중간 위치 우측 산등성이에 자리잡고 있는 본 주택은 사호당고택(沙湖堂古宅)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진사(進士)를 지낸 사호당(沙湖堂) 이능승(李能升)공이 1840년경에 지어 살던 집이다. 변화있는 배치와 다양한 기능을 고려하여 안채와 사랑채의 구분이 확실하면서도 문을 통해서 바로 연결되는 점이 특징이다.



    두곡고택

    두곡고택(杜谷古宅, 중요민속자료 77호)
    거림(居林)에 있는 대표적인 대가옥의 하나이다. 이언적의 6대손인 이식중(李湜中)공이 1730년경 건립했고, 후에 두곡(杜谷) 이조원(李祖源)공의 소유가 되어 그의 후손들이 살면서 두곡고택(杜谷古宅)이라 부르게 되었다. 현주인 이희태씨는 바로 그의 손자이다. 뒷 마당을 넓게 잡고 행랑채와 디딜 방아간을 둔 것이 특징이다.



    영당

    영당(影堂, 향토문화재)
    영당은 영정을 모시고 제사하는 곳인데, 이 영당은 수졸당(守拙堂) 이의잠(李宜潛)공의 영정(影幀)을 모시는 곳으로서 1636년경의 건축물이다. 이곳에 모신 영정은 수졸당이 하양(河陽) 현감 재직시 선정을 베푼 보답으로 현민들이 그려서 가져온 것을 영당을 지어 모시게 된 것이다.



    양졸정

    양졸정(養拙亭)
    회재 이언적 선생의 둘째 손자인 양졸당(養拙亭) 이의징(李宜澄 1568-1596)공의 후손들이 그를 추모하여 세운 정자인데 6.25때 소실된 것을 1958년에 중건하였으며, 내곡입구 좌측 산언덕에 있다.